본문 바로가기

Algorithm/C++149

[백준 2577] 숫자의 개수 2577번: 숫자의 개수 (acmicpc.net) 2577번: 숫자의 개수 첫째 줄에 A, 둘째 줄에 B, 셋째 줄에 C가 주어진다. A, B, C는 모두 100보다 크거나 같고, 1,000보다 작은 자연수이다. www.acmicpc.net 배운 것 int to string: string s = to_string(res); 정답 풀이1 #include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int main(int argc, const char *argv[]) { /* 0으로 초기화를 해야한다. 아니면 garbage value, 즉 쓰레기 값이 들어있게 된다. 이 때 0으로 초기화 하는 방법은 {} 괄호만 쳐주거나, {0,}, {0} 방식이 있다. */ int count[10] = {}; i.. 2022. 8. 9.
[백준 10808] 알파벳 개수 10808번: 알파벳 개수 (acmicpc.net) 10808번: 알파벳 개수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a의 개수, b의 개수, …, z의 개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한다. www.acmicpc.net 배운 것 - 내 풀이에서는 이렇게 s[i] 째로 넣어줬는데 s[i]는 알파벳이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아스키 코드상의 숫자로 들어간다. 그리고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니까 s[i] - 'a'를 해줘야 함 for(int i=0;i> s; for(auto c : s) freq[c-'a']++; for(int i = 0; i < 26; i++) cout 2022. 8. 8.
[백준 1159] 농구 경기 1159번: 농구 경기 (acmicpc.net) 1159번: 농구 경기 상근이는 농구의 세계에서 점차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다. 처음에 그는 농구 경기를 좋아하는 사람이었다. 농구에 대한 열정은 그를 막을 수 없었고, 결국 상근이는 농구장을 청소하는 일을 시작 www.acmicpc.net 배운 것 정답코드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int n, cnt[26]; string s, ret; int main(){ cin >> n; for(int i = 0; i > s; cnt[s[0] - 'a']++; } for(int i = 0; i = 5) ret+= i + 'a'; if(ret.size()) cout 2022. 7. 27.
[이코테] 숫자 카드 게임(그리디) 문제 여러 개의 숫자 카드 중에서 가장 높은 숫자가 쓰인 카드 한 장을 뽑는 게임 숫자가 쓰인 카드들이 N x M 형태로 놓여 있다. 이때 N은 행의 개수를 의미하며, M은 열의 개수를 의미한다. 먼저 뽑고자 하는 카드가 포함되어 있는 행을 선택한다. 그다음 선택된 행에 포함된 카드들 중 가장 숫자가 낮은 카드를 뽑아야 한다. 따라서 처음에 카드를 골라낼 행을 선택할 때, 이후에 해당 행에서 가장 숫자가 낮은 카드를 뽑을 것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가장 높은 숫자의 카드를 뽑을 수 있도록 전략을 세워야 한다. 입력 조건 첫째 줄에 숫자 카드들이 놓인 행의 개수 N과 열의 개수 M이 공백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자연수로 주어진다. (1 ≤ N, M ≤ 100)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각 카드에 적힌 숫.. 2022. 6. 29.
[백준 7562번] 나이트의 이동 7562번: 나이트의 이동 (acmicpc.net) 7562번: 나이트의 이동 체스판 위에 한 나이트가 놓여져 있다. 나이트가 한 번에 이동할 수 있는 칸은 아래 그림에 나와있다. 나이트가 이동하려고 하는 칸이 주어진다. 나이트는 몇 번 움직이면 이 칸으로 이동할 수 www.acmicpc.net 배운 것 1. memset(d,-1,sizeof(d)); 2. goal 지점이 있어서 예외처리를 해줘야하나 생각했는데 그냥 cout goal지점 좌표를 해주면 되는거였음.. 정답 풀이 #include #include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int d[300][300]; int dx[] = {-2,-1,1,2,2,1,-1,-2}; int dy[] = {1,2,2,1,-1,-2,-2,-.. 2022. 6. 25.
[이코테] 큰 수의 법칙(그리디) - 예제 3-2 문제 큰 수의 법칙은 다양한 수로 이루어진 배열이 있을 때 주어진 수들을 M번 더하여 가장 큰 수를 만드는 법칙이다. 단, 배열의 특정한 인덱스(번호)에 해당하는 수가 연속해서 K번을 초과하여 더해질 수 없다. 예를 들어 순서대로 2, 4, 5, 4, 6으로 이루어진 배열이 있을 때 M이 8이고, K가 3이라고 가정한다. 예를 들어 순선대로 2, 4, 5, 6으로 이루어진 배열이 있을 때 M이 8이고, K가 3이라고 가정하자. 이 경우 특정한 인덱스의 수가 연속해서 세번까지만 더해질 수 있으므로 큰 수의 법칙에 따른 결과는 6 + 6 + 6 + 5 + 6 + 6 +6 +5인 46이 된다. 단, 서로 다른 인덱스에 해당하는 수가 같은 경우에도 서로 다른 것으로 간주한다. 예를 들어 순서대로 3, 4, 3,.. 2022. 6. 21.